티스토리 뷰

반응형

"네이버 영화"

오늘은 2009년 영화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한때 대한민국을 웃기고 울렸던 영화입니다.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던 영화인지라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았던 영화입니다. 실제 주인공들의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기에 더 리얼하고 감동이 담겼던 영화, 지금 리뷰 시작합니다.

 

줄거리

1996년 전라북도 무주에서 동계 올림픽 유치를 위해 정식 종목 중 하나인 스키점프 국가대표팀이 급하게 결성되었습니다. 

그래서 예전 어린이 스키교실 강사 방종삼이 국가대표 코치로 임명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감독을 시작으로 정예멤버들이 모이기 시작합니다. 먼저 전 주니어 알파인 스키 미국 구가대표였다가 친엄마를 찾아 대한민국으로 온 입양아였던 '밥', 여자 없으면 하루도 못 버틸 나이트클럽 웨이터였던 '흥철', 밤낮으로 숯불만 피우고 아버지가 시키는 대로만 자라온 고깃집 아들 '재복', 또한 할머니와 동생을 돌봐야 하는 짐이 버거워울 뿐 아니라 말 없는 소년 가장 '칠구', 그런 형을 끔찍이 사랑하는 4차원 동생 '봉구', 이렇게 곳곳에서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합니다. 

감독은 이렇게 곳곳에서 모인 사람들에게 솔깃한 약속을 건네고 이들은 본격적으로 올림픽을 준비하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스키점프를 모르는 코치와 경험이 없는 선수들의 훈련은 힘들기만 합니다.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고 열악한 시설과 훈련장비들을 사용하며 밤낮으로 훈련합니다. 그래도 열악한 상황 속에서도 많은 추억과 기쁨으로 훈련에 임합니다. 

도무지 제대로 훈련하기 힘든 상황에서도 결국 스키점프 월드컵에 참여하게 됩니다. 하지만 뜻하지 않는 사건으로 인해 결과는 좋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힘들게 동계 올림픽 진출 자격을 얻게 되고, 이들의 꿈은 한발씩 전진하게 됩니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지만 나름 동계 올림픽 진출이라는 결과를 얻게되어 많은 국민들의 기대를 받게 됩니다. 

그러고 나서 드디어 꿈에 그리던 올림픽의 땅을 밟게 됩니다. 그곳에서 각자가 힘들게 준비했던 것들을 마음껏 뽐냅니다. 

결과는 좋지 않았지만 역사상 처음으로 대한민국에서 스키점프 국가대표가 배출되었고, 이들을 통해 스키점프라는 종목을 알릴 수 있어서 국민들의 응원과 많은 관심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그 후에도 여러 차례 대회를 나가며 영화는 끝이 납니다. 

"나도 할 수 있는데"

'강칠구'가 부상을 당하며 뒤에 있던 동생 '강봉구'가 말한 내용입니다. 이 영화의 핵심 명대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정말 중요한 올림픽 때 형이 부상을 당하게 됩니다. 그래서 경기를 이어갈 수 없을 때 늘 옆에서 지켜보고 함께했던 동생이 자신도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어떻게 보면 정말 도전적입니다. 스키점프라는 종목 특성상 높은 위치에서 뛰어내리기에 많은 담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 동생은 이 대회가 얼마나 중요한지, 자기 형제에게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기에 자신이 뛴다고 합니다. 다르게 보면 그저 순수한 동생의 철없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말의 의미는 단지 철없이 나온 말이 아니었습니다. 

이 대사를 통하여 관객 모두가 열광했을 것입니다. 

관전 포인트

이 영화는 정말 따뜻한 힐링 영화입니다.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고, 곳곳에 숨겨져 있는 코믹 포인트까지 완벽합니다. 처음엔 되게 가볍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주인공들의 분위기에서 진지한 구석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가면 갈수록 나름의 진지함도 보이고 내용이 가볍게 무거움의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서 보기 편합니다.  관객에게 웃음을 주는 장면이 정말 많아 조금도 지루하지 않고 영화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화를 바탕을 했기에 주인공에 대한 몰입이 잘 됩니다. 옛날부터 힘들게 살아왔던 성장 배경들, 그리고 각자의 사정들이 모여 팀을 이루고 조화를 이루듯이 보는 내내 감정이입과 몰입하게 만듭니다. 

주인공 각자의 개성도 두드러집니다. 서로가 살아온 배경이 다르고, 현재 상황이 다릅니다. 그래서 영화를 보는 내내 과연 어떤 팀을 이룰 것인지 궁금하게 만듭니다. 

또한 영화가 끝을 달릴수록 이들이 하나되는 과정, 추억, 배경이 하나가 되어 마지막에 가슴이 따뜻해지는 결말을 이루는 것이 이 영화의 핵심입니다. 

그래서 마지막엔 정말 따뜻하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가족과 함께 보면 마음 따뜻해지는 영화, 꼭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